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인 동시에 인류 문화를 이끌어온 원동력이다. 오늘날 우리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과 문화에 깊숙이 녹아든 것이 바로 언어이다. 그러므로 언어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참으로 소중한 존재다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의 기능과 본질을 과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문법과 같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지식을 체계화, 규칙화하는 것에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인지 및 사회적인 부분도 다루기 때문에 인문학뿐 아니라 사회과학, 자연과학, 인지과학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어떻게 하면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그리고 언어는 어떻게 변화하여 오늘에 이르렀을까 등, 언어에 관한 여러 과제를 풀어 보는 것이 언어학이다
언어 현상을 어떤 관점으로 연구할지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간을 기준으로 어떤 한순간의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다룰 수 있는 언어의 개수에 따라 다중언어와 단일언어로 그 대상을 구분할 수도 있고, 아이와 어른으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학습한 것과 습득한 것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의 구분
공시언어학 : 언어연구에 있어 특정된 한 시기의 한 언어 상태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부문을 말한다. 정태 언어학이라고도 하며 통시 언어학에 대립한다.
통시언어학 : 통시 언어학이란 시간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언어학이라고도 한다. 반대말은 공시 언어학이다. 한국어 역사언어학 연구의 권위자로는 알렉산더 보빈 교수가 있다.
◎ 다음은 언어학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론 분야이다. 이러한 구분은 언어가 낮은 단계의 소리에서 높은 단계의 뜻까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관점에 기반한 것이다. 그러한 위계적인 구조 속에서 어떠한 대상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가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 음성학 : 음성학은 사람의 말소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말소 리갈·발음학·성음학·소리갈·어음으론 등으로도 부른다. 언어학의 한 분야로, 말소리가 어떤 발음 기관의 어떠한 작용으로 생성되며, 만들어진 말소리가 물리적으로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 또한 어떻게 전달되고 청취 되는지 연구한다
● 음운론 : 언어학의 하위 분야의 하나로 특정 개별 언어 또는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음성학이 말소리의 물리적인 발성과 인지를 연구하는 데에 비해 음운론은 주어진 언어 내에서 또는 범언어적으로 소리가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기술한다.
음운론이라는 용어 대신 읍소론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분야를 지칭할 수도 있으나 읍소론과 읍소론을 개념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읍소론은 음소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분야를 지칭하며, 운 소론은 운율적 특징인 소리의 높낮이, 길이, 세기 등의 악센트와 억양 등 운수를 연구하는 분야를 지칭한다.
● 형태론 : 단어의 어형 변화를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이며, 어형론이라고도 한다. 형태론은 형태소를 분석하고 그 형태소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통사론 : 구문론이라고도 하는 통사론은 단어가 문장을 이루는 방법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하위 분야이다. 통사론이 주요하게 문장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문장의 구조나 기능, 문장의 구성 요소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맥락에서 언어학의 한 분야로 문장론 또는 어법학 또는 문법론 등으로 불린다
● 의미론 : 언어학 및 논리학의 기본 분야 중의 하나로 말이나 글의 의미 또는 뜻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의미 또는 뜻이라는 개념 자체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충분히 명확한 정의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의미란 무엇인가?' 또는 '의미론은 무엇을 연구하는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의미론의 논의가 시작되곤 한다.
● 화용론 : 의사 소통 시의 발화에 대한 언어론이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언어 사용이 어떻게 바뀌는지, 화자의 의도와 발화의 의미는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연구도 다룬다.
● 텍스트언어학 : 텍스트를 의사소통 시스템으로 다루는 언어학 분야이다. 텍스트언어학의 본래 목적은 텍스트 문법을 밝히고 설명하는 데 있다. 그러나 텍스트언어학의 응용은 여기서 더 발전하여, 텍스트언어학자들은 텍스트의 형태뿐 아니라 텍스트의 설정, 즉 텍스트가 존재하게 된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적 맥락을 고려한다. 텍스트의 저자는 물론 텍스트의 수신인까지 특정한 의사소통 맥락에서 각각의 사회적 역할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텍스트언어학에서 다루는 텍스트란 단순한 문장 또는 단어가 아니라 보다 넓은 층위의 것이며, 텍스트언어학은 그 텍스트에 대한 설화 분석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 전통 언어학으로 인식됐던 역사가 매우 오래된 분야
● 어휘론 : 어휘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어휘는 단어들의 집합이다.
● 방언학 : 방언에 대해 연구하는 언어학이다. 방언과 언어와의 구별이 명확하지는 않다. 예를 들면, 상하 이어는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지만, 베이징어를 모체로 하는 보통화와의 차이는 다른 언어로 취급하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이상으로 크다. 언어는 시간에 따라 변할 뿐만 아니라, 지역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 지역마다 사투리가 쓰이고 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또한 사회 계층이나 세대 차이와 같은 사회적 요인에 따라서도 달리 나타난다. 어른들의 말과 청소년들의 말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음을 우리는 보고 있다. 이처럼 한 언어 안에 존재하는 언어의 다양한 차이를 방언이라 한다
● 어원론 : 단어의 기원 및 그 유래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사회과학 >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과학과 언어학2 (0) | 2022.06.0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