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기원전 4세기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이루어졌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중세 말엽의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서 부활한다.
근대적 의미의 정치학은 중세적 세계공동체가 해체되고 근대국가가 형성된 데서 비롯된다. 근대정치학은 근대의 주권국가를 대상을 한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정치학과 구별된다.
마키아벨리 : 도덕적인 선입감을 벗어난 객관적 방법을 통해서 세속 군주의 통치기술을 논함
보대 : 법률학적 입장에서 근대국가의 주권 성과 아울러 군주의 절대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
근대 이전의 정치학은 교권에 대한 세속 권의 절대성과 전제군주국가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이론이었고 국가의 주권 성과 군주 권력의 만능성을 정당화하는 학문의 성격을 가짐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은 중세질서가 무너지는 르네상스 시대를 배경으로 안팎으로 내전과 외침에 시달리는 이탈리아가 통일되기 위해서는 정치를 도덕과 분리하여 강력한 통치를 펼칠 군주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었다. 집권자의 전통적인 핵심 덕목인 현명함, 공정함, 용기, 절제 등을 대신해서 실용주의, 계산 그리고 현실감각이었다.
군주는 항상 자신의 모든 행동을 위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때로는 꾸며대기도 하고 거짓말하며, 속이고 약속을 어기는 사람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키아벨리를 근대 정치학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다.
국가의 기반이 확립되고 전제군주정치에 대항하는 민권사상이 대두하게 됨에 따라 정치학은 국가권력의 소재에 관해서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근대의 정치학은 국가 주권 이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아울러 정치의 실태에 대한 실증주의적 분석을 기초로 하게 된다.
◎ 공리주의는 정치적 권위의 근거를 추상적 이성이나 권리에서 찾지 않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서 찾게 된 것이다. 공리주의의 시조인 벤담 및 그의 후계자 J. S. 밀은 입법·대의 정부·선거제도 등의 대의 민주정치에 있어서의 실제적 문제를 대상으로 연구했고, 현실정치에 대한 많은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이익을 기준으로 사회의 제도나 문화 그리고 그 운영방식을 판단한다. 즉, 공리주의는 이익에 도움이 된다면 어떤 것이든 도구로 삼아 사람을 감시하고 교육하여 질서를 만들고 '유령처럼 군림'하는 감독을 시행한다. 이는 권력과 신뢰보다도 우선시하는데 이런 공리주의의 원칙은 오늘날 우리들의 정신
제러미 벤담 : 옥스퍼드 대학에서 배우고 변호사가 되었으나, 철학에 몰두하였다. 그는 당시의 법률을 모두 비판하고, 평생토록 이치에 맞는 성문법을 만드는 운동을 벌였다. 정치에서는 급진주의를 옹호했으며, 그는 당시 영국에 만연했던 보수주의적 정치와 '보수주의 법철학'을 반대했으며 영국 법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를 표방했다.
◎ 영국과 프랑스에서 발달한 정치학은 독일의 관념적 국가이론 형성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시민사회의 형성이 뒤늦게 이루어진 독일에 있어서는 법학적 정치학의 전통이 확립된다. 본래 군주의 주권설을 옹호하려고 등장했었던 주권 이론이 독일에 있어서는 국가 주권 이론으로 변질한다. 독일의 국가론은 군주주권론과 루소의 인민 주권론을 절충하여 국가주권론으로 발전하고 국가의 본질을 유기체적인 것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게오르크 옐리네크 : 19세기 독일을 대표하는 공법학자·헌법학자·행정법학자이다. 저명한 행정법학자인 발터 옐리네크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종래의 형이상학적 국가이론에서 벗어나, 신칸트학파의 이원론적 방법에 기초하여 법학적 국가론을 체계화하여 실증주의적 국가론을 전개하였다. 그의 법적 관점은 이른바 법실증주의로 불린다.
◎ 국가 다원론은 국가학에서 전제로 하는 국가주권론에 반대하여 주권의 소재가 다원적인 사회집단에 있음을 주장하는 이론이나 근본적으로는 주권론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정치학에서 법학적 요소를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사회과학 > 정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정치학 (0) | 2022.06.15 |
---|---|
현대 정치학 및 역사 (0) | 2022.06.14 |
정치학 내용 및 단어설명 1 (0) | 2022.06.12 |
댓글